-
5
김*기
2025.08.08
논문을 작성해 보지 않았던 사람들 혹은 작성해봤지만 혼동하고 계시는 연구자 분들에게 기초 학습을 위해 추천 드립니다.
파트타임 대학원으로 교수님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받기는 어려운 상황이고,
회사에서도 제 연구 분야가 익숙하지 않은 상황이라 혼자 논문을 쓰고, 투고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논문 작성에 대한 경험은 있지만 실제 SCI 저널에 논문을 투고해 본 적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널을 선택함에 있어서 제가 하고 있는 방식이 맞는지 확신이 없었는데,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자신감을 얻고 여러 팁들을 알아가서 도움을 받았습니다.
한번도 논문 투고를 해보지 않았거나 저처럼 어느 정도 경험치는 있지만 확신이 없는 분들은
전반적으로 프로세스를 설명해 주시기 때문에 기초 학문처럼
한번은 들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5
왕*주
2025.01.17
자세하고 친절하게 가르쳐줍니다. 요령과 비법 섞어서
논문작성과 게재에 대하여 자세하고 친절하게 가르쳐줍니다.
물론 요령과 비법, AI 적용 등도 섞어서 강의합니다.
실습과 숙제가 간간이 있는데 그걸 하려고 빈 시간들을 10여분~30분 이상 주고 수강생이 해보고 강사는 특별히 하는 일 없이 기다리는 시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핵심만 주입식 강의로 하면 4시간 정도도 가능하다고 보입니다만 그러면 실습 없이 해보아야 겠지요.
어느 정도 아시는 분은 길게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
5
한*국
2025.01.17
연구논문작성의 지침서
연구논문을 써야하는데 막막하고 어디서 신뢰할 만한 정보를 구하기도 정말 어려운데 이런 수준 높은 강의가 있어서 많은 도움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5
김*정
2025.01.17
도움이 많이 됩니다
논문을 처음 시작할때도 쓰고 있는 중에도 여러가지 tip들을 많이 배울수 있고 실습도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
5
문*주
2025.01.16
기대 이상 만족스럽습니다.
다음 4가지 점에서 만족스럽습니다.
1. 교육내용 측면: 연구설계~자료분석~논문작성~논문투고 방법에 이르기까지의 방대한 양의 내용이 일목요연하게 구성되어 교육 내용이 알찹니다.
2. 교육방법 측면: 적절한 시간 안배로 시간에 쫓기는 느낌없이 교육이 진행된 데다가 채팅 창을 통해 교육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유도하셔서 지루할 틈이 없고, 수강생들이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하게 해 주십니다.
3. 교육공학 측면: 교수님의 강의 속도, 어조, 발음 등 강의력, 전달력이 뛰어나시고, GPT 등도 활용하여 최신 트렌드에 부합합니다.
4. 교육평가 측면: 수리적/계량적 설명은 최소화하고, 실습에 기반을 둔 강의구성으로 교육 수강생들의 자료분석 역량이 함양되도록 하여 높은 교육 만족도를 이끌어 내십니다.
교육에서 한가지 단점을 찾아 보자면,
교육을 수강하고 나면 배운 내용을 토대로 얼른 논문 투고를 하고 싶다는 용기와 자신감이 용솟음쳐 한동안 수면의 양과 질이 급격히 하락하게 될 것입니다^^